최근 몇 년간 암호화폐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였고, 많은 나라들이 이 새로운 금융 시스템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국제적인 경제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도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기존 금융 시스템과 달리 암호화폐가 탈중앙화되어 있으며, 거래 기록이 투명하게 공개되면서도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특징 때문입니다.
1. 북한의 해킹을 통한 비트코인 확보
북한이 비트코인을 획득하는 가장 주요한 방법 중 하나는 바로 사이버 해킹입니다. 북한 정부는 강력한 해커 조직을 운영하며, 이를 통해 세계 각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와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해킹을 감행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금융 기관의 취약점을 공략하거나 개인 투자자들의 계정을 탈취하는 방식으로 암호화폐를 탈취합니다.
특히 북한의 해킹 그룹인 라자루스(Lazarus Group)는 국제적으로 악명이 높습니다. 이들은 피싱 공격, 악성 코드 삽입, 내부자 정보 유출 등을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의 보안 시스템을 뚫고 비트코인을 탈취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들은 2022년에도 대규모 해킹 사건을 일으켜 약 6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빼돌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북한이 비트코인을 활용하는 이유
북한이 이렇게 적극적으로 비트코인을 확보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경제 제재 회피
북한은 국제 금융망에서 차단되어 있어 일반적인 방법으로 외화를 조달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은 탈중앙화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북한이 경제 제재를 회피하는 데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됩니다. 특히, 북한은 중국, 러시아 등의 국가를 통해 암호화폐를 현금화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마련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2) 군사 및 핵 개발 자금 조달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해킹을 통해 얻은 암호화폐를 무기 개발 및 핵 프로그램을 위한 자금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는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불법적인 거래에도 활용하기 쉬운 특징이 있습니다. 북한은 이러한 자금을 이용해 장거리 미사일 개발, 무기 거래 등 다양한 불법 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자금 세탁 및 해외 거래
북한은 탈취한 비트코인을 여러 개의 가상 지갑으로 분산한 후, 믹싱 서비스(mixing service)를 활용해 자금의 출처를 숨긴 뒤 현금화하는 방식으로 운영합니다. 이를 통해 해외 기업과의 불법 거래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러시아, 이란 등의 국가와 협력하여 암호화폐를 이용한 불법 무기 거래를 진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3. 국제 사회의 대응
이러한 북한의 활동에 대해 국제 사회는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1) 거래 추적 및 감시 강화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여러 나라들은 북한이 해킹으로 확보한 비트코인을 추적하기 위해 블록체인 분석 기업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북한 관련 지갑 주소를 파악하고, 관련 거래를 차단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이상 거래 패턴을 감지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2) 암호화폐 거래소의 보안 강화
세계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보안 시스템을 강화하여 북한의 해킹 공격을 차단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 신원 인증(KYC) 절차를 강화하여 불법적인 자금 세탁을 방지하려 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부 국가에서는 거래소가 특정 국가와 관련된 계정을 감시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법적 조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3) 법적 제재 및 국제 공조
미국과 유엔은 북한의 사이버 범죄 활동을 억제하기 위해 다양한 법적 조치를 마련하고 있으며, 북한과 연관된 암호화폐 지갑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 해커 조직을 제재 대상에 포함시키고, 암호화폐 해킹과 관련된 금융 기관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결론
북한의 비트코인 보유 및 활용 문제는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니라 국제적인 안보 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습니다. 북한은 사이버 해킹을 통해 막대한 양의 비트코인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경제 제재 회피 및 군사 개발 자금 조달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제 사회는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향후 더 강력한 제재와 보안 강화가 필요할 것입니다.